
안녕하세요 잡채소녀 입니다!!
오늘은 3가지 대출 상환 방식은 무엇이 있고 어떻게
다른지 간단하고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출을 갚는 방식은 크게 3가지로, 원리금 균등, 원금균등, 만기일시 상환방식이 있습니다.
대출을 갚을 때는 원금과 이자를 냅니다.
원금은 3가지 방식 모두 똑같고 이자는 3가지 방식 모두 다릅니다.
가장 먼저 원리금균등 상환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리금균등 상환방식
원리금은 원금과 이자를 합친 말이며 균등은 고르게, 똑같이라는 뜻입니다. 대출 기간 동안 매달 똑같은 액수의 원금과 이자를 갚는다는 뜻입니다.
원금도 똑같이, 대출도 똑같습니다. 예를 들어 대출금액
1000만원을 5년동안 연 이자율 3%, 연리금균등 상환방식으로 갚을 경 우 매달 179,687원씩 납부하면 됩니다
원금과 이자를 매달 똑같은 금액으로 나눠서 내고 이자율은 고정이자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계획적인 자금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원금균등 상환방식
원금균등은 대출 기간 동안 매달 똑같은 액수의 원금을 갚는다는 뜻입니다. 단, 이자는 매달 달라지며 갈수록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1000만원을 5년 동안 3%의 금리로 대출 받았다고 했을 때, 원금균등은 원금 1000만원을 5년동안 매달 똑같이 갚는 것이니까 1000만원 나누기 5년 나누기 12개월은 약 166,667원으로, 원금만 따로 놓고 보면 매달 원금을 약17만원 가량 갚게 됩니다.
이자는 대출받은 후 첫 번째 달에는 원금 1000만원에 대한 금리 3%가 적용되는데요. 1000만원x 3% = 30 만원으로 이것은 1년 이자를 말하며 30만원을
12달로 나누면 한달에 내는 이자는 25000원입니다.
따라서 김씨가 대출을 받은 뒤 첫번째 달에 내는 돈은 원금 17만원과 이자 25000원을 합친 금액인 약 195,000원을 내야 합니다.
그런데 두 번째 달은 첫번째 달에는 총 원금 1억 중 원금 약 17만원을 갚았기 때문에 남은 원금은 9,830,000원입니다. 이 금액에 대한 이자를 갚으면 되는데요.
약 983만원 x 3% = 약 294,900원, 연이자는 약 294,900원 입니다. 이 금액을 12달로 나누면 월이자는 약 24,500원 이기에, 두번째 달에 원금 17만원과 월이자 24,500원을 합친 금액 약 194,500원을 납부 해야 합니다.
이처럼 원금균등 상환방식은 원금을 매달 균등하게 상환함으로써 대출원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자도 계속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 초기에는 월상환금이 많이 지급된다는 점과 매달 납부하는 금액이 달라 복잡하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만기일시상환
만기는 마지막 날이라는 뜻이고 일시는 한꺼번에라는 뜻입니다. 즉, 만기일시상환은 대출기간의 마지막 날에 한꺼번에 원금을 갚는 방식입니다. 대출기간 동안 원금은 갚지않고 이자만 갚다가 원금은 대출기간 마지막 날 한꺼번에 갚는 상환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1000만원을 5년동안 3%의 금리로 대출 받 았으니 매년 납부해야 할 이자는 30만원 입니다.
그러면 매달 내야 할 금액은 30만원 나누기 12개월로 25000원입니다. 만기일시상환은 대출기간 5년동안은 이자만 매달 25000원씩 내다가 대출기간 마지막날에 원금 1000만원을 내는 것입니다.
대출기간 동안 이자만 내면 되기 때문에 그 기간동안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적지만, 만기에 한꺼번에 일시 상환해야 하므로 만기할 때 부담이 매우 높아지게 됩니다. 또한 이자만 내기 때문에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총 납부해야 하는 이자금액
원금 균등< 원리금 균등< 만기일시
상황 초기에 갚아야 하는 금액
원금 균등>원리금 균등>만기일시
여기까지 대출상환방식 3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는 대출상환방식을 선택할 때 원금균등, 원리금균등, 만기일시 중 여러분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 현명하게 계획해서 선택할 수 있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편의점 반값택배 끼리택배 가격인상/ 접수방법/배송조회/배송기간 총정리!! (0) | 2023.03.16 |
---|---|
우체국택배 접수 박스/시간/가격/사전 접수/배송기간/토요일 총정리!! (0) | 2023.03.14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2유형 대상/혜택/신청방법 총정리 (0) | 2023.02.10 |
2023 전기세 인상 이유/추가 인상/외출모드 난방비 폭탄 원인/전기요금 절약하기 꿀팁!! (0) | 2023.02.09 |
전입신고 하는 법 (온라인,오프라인)/확정일자 받기 총정리 (0) | 2023.02.08 |